목록개발/Oracle (9)
에러 탈출 일지
10/12-10/13 - 테이블에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컬럼에 정의하는 규칙 1. Primary Key - 기본키, 주키 - 데이터(행)를 구별하기 위한 유일한 조건을 부여함 - not null + unique 2. Foreign Key - 외래키, 보조키 - 참조 무결성을 설정하기 위함 3. not null - 반드시 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제약 조건 4. unique - 유일한 값을 갖도록 하는 제약 조건 5. check - 설정한 값만을 허용하도록 하는 제약 조건 # default 값 - 값을 입력하지 않았을 때 갖는 기본값 -- 1. 테이블 생성, 제약 조건 포함 -- 1-1. 컬럼 레벨 방법 -- 1-2. 테이블 레벨 방법 -- 2. 데이터 추가 PK: unique..
10/12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- 테이블을 생성, 구조를 변경, 테이블을 삭제, 제약조건 추가, 수정, 삭제 - create table 테이블명, alter table 테이블명, drop table 테이블명, ... 1. 테이블 생성 (1) emp 테이블 생성 (2) dept 테이블 생성 2.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: alter table 2-1. 컬럼 추가 2-2. 컬럼의 길이 변경 2-3. 컬럼의 이름 변경 2-4. 컬럼 삭제 3. 테이블 이름 변경 4. 테이블 삭제 5.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, 할당된 공간 초기화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) - 객체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사전(시스템 테이블) - oracle에만 존재 1. 데이터 사전의..
테이블의 검색 데이터에 대한 행번호를 붙여주는 가상의 컬럼(의사 컬럼) 출력하는 행의 수를 제한, 처음부터 1건, 3건, 5건 select * from employee where rownum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(삽입)하는 명령 insert into 테이블명(컬럼명, ...) values(값, ...); 모든 컬럼을 명시하고, 값을 입력하는 경우 insert into emp(eno, ename, job, manager, hiredate, salary, commission, dno) values(8001,'STEVE', 'MANAGER', 7839, to_date('1990/06/13'), 3300, null, 40); 2. 모든 컬럼을 누락없이 순서대로 값을 입력하는 경우 → ..
- 서브쿼리: 쿼리문 내부에 기술한 쿼리문 - 메인쿼리: 쿼리문 외부에 기술한 쿼리문 - 일반적으로 메인쿼리가 서브쿼리를 감싸고 있는 형태의 쿼리문 1. 단일행 서브쿼리 - 서브쿼리의 겨로가가 1개인 경우 - 연산자:>, >=, all : 서브쿼리의 여러 결과 중에서 최댓값보다 큰 값을 출력
-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한 번에 조회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쿼리문. (1) 이퀴 조인(Equi Join) → 모든 RDBMS에서 사용 가능 - 두 개 이상 테이블의 조인 조건을 where절에서 equal연산자를 사용하여 조인하는 방법 - 조인 조건을 where절에 기술함 (2) 네츄럴 조인(natural join) → oracle에서만 사용 - 이퀴 조인의 2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(oracle에서만 사용) ➀ 2개의 테이블에 모두 존재하는 컬럼에 대해서 테이블명.컬럼명을 정확하게 명시하는 문제 ➁ 조인 조건을 where절에 명시하므로 일반 조건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 # natural join을 사용할 때 주의 # - 알리아스를 사..

1. like 연산자 : 문자열에서 일치하는 데이터의 정보를 찾을 때 사용 - ‘~를 포함하는‘ 으로 해석 2. 와일드 카드 :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 - %(퍼센트) : 없거나, 하나 이상의 어떠한 문자가 와도 상관없음. - _(언더바) : 하나의 문자가 나옴 문제1) 사원 테이블에서 사원명의 첫 번째 문자가 ‘S'인 사원의 정보를 확인하시오 where ename like 'S%'; →사원명에서 첫 번째 글자가 S이고 그 뒤는 %상관없는 것 문제2) 사원 테이블에서 사원명의 문자가 ‘S'로 끝나는 사원의 정보를 확인하시오 where ename like '%S'; 문제3) 사원 테이블에서 사원명에 ‘M'을 포함하는 사원 정보를 확인하시오 where ename li..

- 컬럼이나 테이블에 대한 별칭, 별명을 붙이는 것 - 컬럼: 컬럼명을 보기 편하게 바꾸기 위함 ed (오라클에만 있는 기능) / 쓰면 실행 r 쓰면 sqp문 나오고, 실행 1. 컬럼명 : as "알리아스명" 2. 컬럼명 “알리아스명” → as 생략가능 3. 컬럼명 알리아스명 → “” 생략가능 → 단, 공백이나 특수기호 포함한다면 “” 사용 as 생략 가능 컬럼명 알리아스명 → “” 생략가능 → 단, 공백이나 특수기호 포함한다면 “” 사용

sqlplus system/1234 관리자 계정 들어가서 sqlplus system/1234 show user; grant connect, resource, dba to aws01; exit ▶로그아웃 해주고 cd c:| ▶c드라이브 열기 cd tmp ▶tmp 파일 열기 dir ▶디렉터리 sqlplus aws01/1234 ▶aws01 계정으로 접속 @emp.sql ▶ 파일 실행 시키기 desc employee; linesize, pagesize 주고 보기 좋게 만들기 desc department; select * from department; desc salgrade; select * from salgrade; select 컬럼명 나열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groupe by 그룹할 컬럼명 h..
1. 데이터 datum: 데이터 1개, 단수형 data: 데이터의 모음, 복수형 database: 데이터의 집합 2. DBMS ( Data Base Managment System,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) 3. DBMS의 종류: 객체형 DBMS, 계층형 DBMS, 관계형 DBMS - 일반적으로 관계형 DBMS를 가장 많이 사용 (Relational DBMS, RDBMS) - No-SQL : DB를 간편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. but 보안이 취약. 주로 sns에서 사용 (페북, 인스타, 트위터 등) 4. RDBMS - 표준 SQL의 규칙에 따르고 각 회사별로 내용을 변형, 추가해서 사용하는 추세. - Oracle, MySQL, MS-SQL(SQL Server), Sybase, MariaDB..